2024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 의결 기간 
   : 2024년 3월 19일(화) 18시 ~ 3월 28일(목) 18시 (대면총회 개시전) 까지

※ 3월 28일(목) 개최되는 대면 총회에서 안건별 의사 최종 확인 후 의결함. (정기총회 개최안내 공고문 바로가기)


● 방법
   : 홈페이지에 게시된 총회 의결 안건을 확인하고 맨 하단 입력폼에 온라인으로 의결함.
    (대면총회 참석 예정인 회원도 온라인으로 의결이 가능합니다.)

● 2024년 정기총회 안건

   1. 2023년 활동 및 감사보고

   2. 2023년 결산 및 감사보고

   3.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4. 2024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


● 대면총회 안내

  -  일시: 3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 30분 [오후 7시 개회]

  -  장소: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지하 1층 모이다 다목적홀 
      (서울시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 카카오맵으로 보기 : https://place.map.kakao.com/23339017 


  ※ 네이버지도로 보기 : https://naver.me/Gh7M01Oy



2024년 총회 자료집 다운로드 ( ※ 온라인 보기가 불편하신 회원분들은 아래 pdf 파일로도 안건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1. 2023년 활동 및 감사보고

(1) 2023년 활동보고

① 녹색교통수단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은 녹색교통수단인 걷기, 자전거, 대중교통 이용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시민참여 캠페인입니다.

    - SNS에 참여자가 직접인증하는 2022년과 달리 2023년에는 「움직이는 소나무」 플랫폼을 구축하였습니다.

    - 참여자들이 녹색교통수단 이용거리와 탄소감축량을 확인할 수 있고 줄인 탄소포인트를 활용하여 친환경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지구의날, 차없는 날 등 환경 관련 기념일 주간에 기념일의 의미를 알리고 환경을 위한 실천을 촉구하는 집중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움직이는 소나무 활동 보기
  • 연중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 참여자
    - 2022년 357명 
    → 2023년 977명

  • 캠페인 참여자 총 이동거리
    - 165,940km → 262,740km

  • 온실가스 감축량
    - 22톤 (소나무 2,252그루 효과)  → 30톤 (소나무 3,691그루)

  • 제로웨이스트 상품 연계
    - 총19개소, 64개 제로웨이스트 제품 연계

  • 캠페인 주간챌린지 16회, 탄소절감 Brief 주간 9회, 월간 5회



② 친환경·안전운전 실천을 위한스마트운전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불가피하게 자동차를 이용할 경우 친환경·안전운전을 통해 배출가스 및 온실가스를 최소화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 시민들에게 친환경운전 개념을 알리고, 스마트운전을 통한 친환경운전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홍보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 친환경운전 10가지 약속을 개편하였습니다. - 친환경 운전문화 확산을 위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친환경운전과 관련된 다양한 온라인 컨텐츠를 제작하고 확산하기 위한 스마트운전 서포터즈를 운영하였습니다.


  • 여름․추석연휴 운전자 대상 오프라인 캠페인 진행 : 3회, 약 10,000명 시민에게 홍보

    - 여름 휴가철 : 만남의 광장(부산방향), 안성휴게소(부산방향), 행담도 휴게소

    - 인천 푸른하늘의날 : 홍보 부스 운영

    - 추석 연휴 : 기흥휴게소(부산방향), 안성휴게소(부산방향), 행담도 휴게소

③ 녹색교통운동 사무처 비전·미션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 30주년을 맞아 현 사무처 활동가들이 함께 현재의 내·외부 상황을 고려한 녹색교통운동의 활동 비전과 미션을 점검하였습니다.

     - 현재 녹색교통에서 가장 필요하거나 집중해야 될 활동분야와 방식을 논의하였습니다.

     - 녹색교통운동의 사회적 영향력(social impact)을 높이기 위한 핵심 사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활동가들이 바라본 현재의 녹색교통 비전과 미션
     - 비전 : 모두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일상
     - 미션
    1) 시민들이 안전하게 다닐수 있는 환경을 함께 만든다
    2)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친환경교통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변화를 촉진한다.
    3) 시민 중심의 교통운동을 통해 지속가능한 녹색교통수단을 활성화 한다


  • 녹색교통운동의 핵심사업
    -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
  • 비전․미션 워크숍 : 총 8회차 진행
     - 비전과 미션의 점검, 조직진단, 활동가 그룹 인터뷰, 비전체계도 작성

  • 회원 설문조사 : 총103명 응답
     - 회원 가입시기, 연령대, 가입동기, 거주지역, 녹색교통에 대한 회고

④ 녹색교통운동 30주년 기념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 지속 가능한 사회,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함께 활동해 온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토론을 통해 정책의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녹색교통운동의 활동 방향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 참여자 : 현직 임원 및 활동가, 고문, 전․현직 임원, 전 녹색교통운동 활동가, 단체․협력기관 이해관계자 등 50여명

  • 녹색교통운동 30년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회고
     -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교통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음.
     - 대중교통의 안전성, 관련 종사자들의 처우에 관심가지고 사회적 공감대를 넓혀왔음.
     - 이동권, 보행권을 사회적 의제로 제안하고 법과 제도를 개선하는 노력을 해 왔음.
     - 녹색교통의제를 전국적으로 의제화하고 연대 협력의 과정을 통해 지역네트워크를 추진해왔음.
     - 유자녀 지원 등 교통사고 피해자 가정에 대한 지원으로 의제를 지속해 왔음.
     - 녹색교통이용하기 등 시민참여 과정을 높여가고 있음.

  • 향후 녹색교통운동의 방향 제언
    -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녹색교통운동
    - 시민과 함께 하는 녹색교통운동
    - 녹색교통운동 활동가 역량 강화

⑤ 현안 교통․환경 이슈에 대한 대응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 환경현안 공동대응 : 「한국환경회의」

    ○ 주요한 환경사안에 대해 공동으로 연대하고 각 회원단체간의 상호협력을 목적으로 설립된 연대기구인 한국환경회의 간사단체를 맡아 환경 현안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활동을 추진하였습니다.

     - 회원단체 총 46개 단체

    ○ 주요 활동
     - 환경포럼 개최 : 총 7회 (회차 주제별로 주관단체에서 실행)

     - 전국환경활동가 대회 개최 : 2023.11.15.~17 (2박3일간), 환경활동가 100여명 참여, 지역 현안 이슈 현장 방문, 교육 프로그램, 교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 진행
     - 현안 이슈 관련 성명서, 보도자료 배포, 기자회견 등 진행



⑥ 활동기반 마련을 위한 연간 모금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 상반기 후원행사·하반기 송년호프

    ○ 녹색교통운동 30주년 기념 후원의 밤 ‘사람중심의 교통’
     - 일시 : 2023년 7월 14일 금요일 6시 30분

     - 장소 : 서강대 곤자가 컨벤션
     - 주요 프로그램

        인사말 : 정용일 이사장

        축사 :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윤정숙 60+기후행동 공동대표·녹색연합 상임대표

        움직이는 소나무 활동 영상

        후원행사 참가자 대상 경품추첨

        기념품으로 달력 제작
      - 총 후원금 : 36,400,000원

    ○ 녹색교통운동 송년호프 ‘소나무 친구들 모이30’
      - 일시 : 2023년 12월 21일 목요일 오후 6시

      - 장소 : 설맥 신촌점

      - 송년호프 진행, 경품행사

      - 후원 금액 총 19,520,000원


  • 온라인·기업연계 모금활동

    ○ 네이버 해피빈, 다음 같이가치 플랫폼에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관련 모금함 개설하였습니다.
     - 총 7개, 모금액 24,635,800원

    ○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기업인 현대모비스와 함께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한 기획모금을 진행하였습니다.
     - 총 5회, 모금액 10,734,700원


  • 신규 기업 후원 확대를 위한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 제안


    ○ 움직이는 소나무 탄소포인트를 위한 제로웨이스트 상점 협업을 제안하였습니다.

     - 참여 기관 : 19개소, 제로웨이스트 상품 64개 후원 및 할인구매


    ○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과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사업을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기 위한 참여제안서를 발송하였습니다.
     - 대상 : 지속가능보고서 발간기업 33개소, 탄소배출과다기업 58개소, 자동차제작사·보험사·자동차관련협회·조합·정유사 등

    - 총 531건의 사업제안서 발송



⑦ 교통사고 피해가정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 1993년 설립년도부터 시작한 교통사고피해가정에 대한 다양한 지원활동이 2023년에도 지속되었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의 미취학·초·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이 지급되었습니다.
    - 도서와 교복, 인터넷 강의 등의 물품 지원사업이 매학기 진행되었습니다.
    - 교통사고 트라우마 등을 치유하기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지원되었습니다.
    -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별 문화체험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에게 필수가전·의료비 지원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2023년 신규]


  • 교통사고 피해가정 기관 후원
    - 남성종합 모델(주), 도로교통공단 인천지부, 이탈에너지(주), 전국개인택시공제조합, 청호불교재단, 코리안리재보험(주), 현대모비스(주), 현대모비스 대리점 협의회, 현대자동차(주), AXA손해보험(주)


  • 미취학·초·중·고등학생 장학금 지급
    - 총 102명, 2억 9,170만원 (가정당 1명)

  • 대학생 희망 장학금 지원
    - 총 42명, 학기당 150만원, 총 6,300만원

  • 물품 지원사업 : 총 102가정 (가정당 40만원 이내)
    - 도서 : 1,693
    - 교복 : 16
    - 인터넷 강의 : 13

    - 총지원액 : 28,718,720

  • 필수가전, 의료비 지원사업
    - 지원규모 : 가정당 180만원 이내

    - 필수가전 : 75개
    - 의료비 : 15가정
    - 생활자금 : 36가정
    - 총지원액 : 196,857,380원

  • 가정 심리치료 지원
    - 총 7명, 70회 지원

  • 지역별 교육 프로그램, 문화체험 활동
    - 지역별 총 2회 진행, 25명 참여

    - 해양환경교육 '아이, 바다를 품다' 캠프 진행, 13명
    - 수도권 문화체험활동 :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관람, 총 12명

(2) 2023년 활동감사 보고


2. 2023년 결산 및 감사 보고

(1) 2023년 결산보고

  • 2023년 총수입은 1,197,076,643원, 총지출은 1,155,482,387원으로
    수지는 +41,594,256원으로 결산되었습니다.


  • 녹색교통 일반회계는 전기 대비 수입은 24,406,641원 증가, 지출은 19,867,565원 감소 하였습니다.
     - 후원·기부금의 비율은 전체 수입의 20.2%를 차지하였습니다.
     - 프로젝트사업 수입은 연대사업인 한국환경회의 활동사업비 수입으로 인해 2022년 대비 +178,855,834원으로 결산되었습니다.
     - 녹색교통 일반회계 수지는 +111,768,006원으로 결산 되었습니다.
     ※ 2023년 수입 중 2024년으로 이월된 지출 예정 금액은 199,100,000원입니다.


  •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는 전기 대비 수입 119,007,182원, 지출 165,728,461원 증가 하였습니다.
     - 의료비․필수가전 지원금 후원(2차)으로 인해 일시후원금이 2022년 대비 +147,402,460원 증가 하였습니다.
     - 2022년 의료비․필수가전 지원 수입의 이월금이 2023년에 집행되어 수지는 – 70,173,750원으로 결산되었습니다.
     - 장학금 지급 규모가 늘어나면서 장학 사업비가 전년 대비 +84,075,044원 증가하였습니다.


  • 전체 살림 규모는 자산 768,932,850원으로 2022년(736,708,739원)보다 소폭 증가하였고, 부채는 299,587,710원으로 전년(308,684,496원)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2) 2023년 회계감사 보고

3.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1)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 임기만료된 17인 중 연임의사 표명 14명
    정용일, 고윤화, 김경진, 김동영, 김성한, 박상준, 박진영, 박성욱, 임영욱, 전재완, 김홍석, 조경두, 조성규, 최회명
  • 연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총회에 임원 재위촉을 요청함.

(2)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

  • 임기만료된 17인 중 사임의사 표명 3명
    강광규, 노현구, 장영기
  • 사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총회에 임원 해촉을 요청함. 
    ※ 그동안 녹색교통과 함께해주신 이사님들께 무한한 감사의 마음을 전해드립니다.

(3) 이사장과 공동대표 선출의 건

  • 지난 11월, 정용일 이사장이 사무처 및 운영위원에게 사임을 표명함. 이에 지난 12월 운영위 논의 이후 총회준비 이사회에서 고윤화 공동대표를 이사장으로, 전재완 이사를 공동대표로 총회에 추인하기로 함.
  • 고윤화 공동대표를 이사장으로 총회에 추인함.
  • 전재완 이사를 공동대표로 총회에 추인함.

(4) 신규임원 및 감사 위촉의 건

  • 총회준비 이사회에서는 신규 이사를 별도로 추인하지 않음.
  • 향후 공동대표를 포함한 임원의 위·해촉, 감사의 위·해촉이 필요한 경우 이와 관련한 사항은 이사회에 위임하여 추인할 것을 요청함.


[임원현황]

연번
성명
구분
변경사항
1
고윤화
이사장/운영위원*
공동대표 → 이사장
2
전재완
공동대표/운영위원*
이사 → 공동대표
3
민만기
공동대표/운영위원*
-
4
김경진
이사/운영위원*
연임
5
김성한
이사/운영위원
연임
6
박상준
이사/운영위원
연임
7
송상석
이사/운영위원
-
8이규진이사/운영위원*
-
9
임영욱
이사/운영위원
연임
10
정용일
고문*
이사장  → 고문
11
김동영
이사
연임
12
김필수
이사

13
김홍석
이사
연임
14
박성욱
이사
연임
15
박진영
이사
연임
16
안기정
이사
-
17
이용상
이사
-
18
조경두
이사
연임
19
조성규
이사
연임
20
최회명
이사
연임
21
강광규
이사
사임
22
노현구
이사
사임
23
장영기
이사
사임


* 이상 총 23명

* 감사 2인 : 사업감사(백남철), 회계감사(정란아)

* 법인등기이사 (총 6명)



4. 2024년 활동계획 및 예산안

(1) 2024년 활동계획

  • 미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사람이 중심인 친환경 교통의 확대


  • 비전
    시민 공감을 높이는 친환경 교통 이용의 활성화


  • 활동목표
    현안 이슈를 공론화하고, 시민참여 확대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활동기반을 마련한다.


  • 세부사업
    ① 현안 교통 이슈 모니터와 대응 활동 체계화
    ② 기후위기대응 실천과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교통 이용 시민참여 캠페인 확대
    ③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사업의 지속
    ④ 활동과 연계한 안정적 재정기반 마련 : 온라인모금·정기후원 및 기업사회공헌 활동 제안


① 현안 교통 이슈를 모니터하고 대응하는 활동을 체계화한다.

  • 교통환경분야의 주요 이슈 모니터링을 통해 현안을 점검하고, 법제도 개선을 위한 의회 활동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 정책을 제안한다
  • 정부가 발표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과 정부와 지자체의 교통 공약을 중심으로 수송부문의 교통환경 이슈를 취합, 장기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제를 선정해 지속적인 현안 대응을 진행한다. 
  • 모니터링을 통한 대응은 시민을 대상으로 한 정보 전달 보다 정책제안과 제도개선 중심으로 진행해 중앙정부․지자체 정책과 관련 법에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목표 설정
  • 각 이슈별 현황 및 문제점, 대응방안 등 사무처에서 1차 취합, 이사회 공유, 최종 선정 단계로 진행 (5개 이내)
    - 단순 대응(성명서, 논평, 보도자료)와 법 제․개정, 정책 제안을 위한 이슈로 구분
  • 4월 총선 직후 내부포럼 통해 이사회와 전략적 실행 방안 논의
    - 법/지침/규정 변경사항 등 확인해 법 제․개정 제안에 용이한 결과물 도출
    - 중앙정부․지자체 관련 정책 개선 대안 제시
  • 전략방안 마련 후 각 정당 및 위원회에 현안 관련 정책 제안서 발송, 이후 모니터링과 대응 지속

  • 주요교통관련 정책 및 현안이슈
    -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국가기본계획 수송부문 이행평가
    - 지자체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송부문 정책 모니터링
    - 교통패스(K패스, The경기패스, 인천패스, 기후동행카드) 개선방안 (비영리공모사업으로 제안)
    - 전기차 충전소 이용 현황 및 정책 대안 마련
    -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 개선방안 :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모니터링 방안, 미세먼지(PN) 관리도입 방안 등
    - 교통인프라 투자계획 및 예산 개편방안 : 교통시설특별회계, 교통에너지환경세 등
    ※ 향후 사무처와 이사회 논의를 통해 현안 이슈는 추가 예정


② 기후위기대응 실천과 탄소중립을 위한 시민참여 캠페인을 확대한다.

  • 2023년 움직이는 소나무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앱 개선을 통해 녹색교통 이용자들의 탄소감축량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회원 및 기업의 참여를 유치해 더 다양하고 확장된 움직이는소나무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
  • 이용자들의 탄소감축 활동과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앱 개선
    1) 현재 적용되어 있지 않은 지하철 인증방식 추가

    : 참여자 확대 및 진입장벽을 제거하고, 탄소감축의 개인 기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 

     ※ 지하철 통신사 Wifi, 사용자 승하차 지점 선택 및 GPS 위치 확인 인증, 역사 주변 QR코드 인증 등 적용가능한 방안을 개발사 등과 논의 후 진행

    2) 기타

    : 팝업 공지, 쇼핑몰 개선, 종료알림 등 이용자 편의성 개선

    : 승용차 소유 및 이용 여부 관련 정보 추가 (승용차 대신 녹색교통수단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추가 포인트 제공 또는 관련 내용으로 챌린지 진행)

  • 탄소감축량에 대한 인증 확보(또는 공공성 확보) 및 활용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에 등록된 자전거, 대중교통 관련 인증방법론 중 「움직이는 소나무」 플랫폼에 적용가능한 방법을 리서치하여 적용
     : 출발 전․후 설문을 통한 베이스라인 이동수단 선택 (이전에 동일구간을 이용했던 교통수단)
     - 이용자들이 감축한 탄소량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자문단 또는 기관 섭외
     : 외부사업 방법론 운영․산정기관, 자발적 탄소플랫폼 운영기관 등 컨설팅
     - 이동수단의 전환 및 감축효과 측정 근거, 시스템 체계의 공공성 확보
     : 탄소저감효과 관련 연구자료, 자동차 온실가스 통계 자료 등 최근자료 활용
     - 데이터 활용방안
     : 기업의 ESG경영 공시에 활용가능한 활동으로 제안
     : 통신사, 손해보험사, 스포츠웨어, 제작사 등
     :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활동에 대한 지원,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 기여 등
     :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녹색교통 전환 및 지원정책 제안의 근거자료 활용

  • 움직이는소나무 앱 이용자 확대를 통해 이용자들의 탄소감축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고, 전체 탄소감축량을 높이는 방안 마련.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모임 또는 오프라인 액션프로그램, 녹색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서명운동, 자전거·보행환경 개선활동 등을 진행 할 수 있는 지지기반 마련

    - 기업 참여 제안을 위한 회원 규모 : 최소 5,000명 이상

    - 상반기에 소나무 회원 확대를 위한 활동에 집중, 하반기에 기업 제안 실행

  • 움직이는소나무 앱 참여자 확대 홍보․마케팅 교육
    - 디지털 마케팅 맞춤 진단 또는 전반적인 마케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참여
     : “비영리단체의 리드제너레이션 캠페인-낯선 시민들로 지지자, 후원자 커뮤니티 만들기” 교육 참여 (3/5, 10:00~17:30,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
     - 디지털 마케팅 활동 진단 및 솔루션, 캠페인 기획 및 실행 전략 제안 등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 7회차)
     : 움직이는소나무 앱의 장기적인 홍보전략을 위한 컨설팅을 받아 실제 적용
     : 홈페이지 외 앱 소개 사이트 별도 제작

  • 온라인 광고 실행
    - 데이터에 기반한 마케팅을 통해 캠페인 효율을 극대화 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새로운 마케팅 채널과 방법 적용
    - 광고 모니터링, 성과 분석, AB테스트, 소재 교체 등 지속적인 관리 실행
    - 앱 다운로드 수 증대를 위한 구글 유니버셜앱캠페인(UAC) 광고 프로그램 이용
     : 목표 다운로드 수 3,000건(회원 가입 목표 50%, 1,500명) 
       [현재 회원 1,000명 → 3,000명 규모까지 확대 목표]
     : 3,000건×2,500원=7,500,000원(VAT 별도) 대행 수수료는 1,050,000원 (광고비의 14%, VAT 별도, 광고 소재 제작비 포함)
  • 기존 움직이는소나무 앱 이용자 대상 캠페인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나 오프라인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회원의 활동성을 높이고자 함.
    - 또한 올해 앱 기능을 개선하여 기존 회원들의 피드백을 설문조사가 아닌 직접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오프라인으로 마련하고자 함. 
  • 포인트도 담고 쓰레기도 담는 그린워킹(greenwalking) - 서울 내, 지정된 곳에서 시장 또는 공원까지 자동차 대신 걸어서 이동. 걷기로 획득 가능한 일일 탄소포인트도 채우고, 이동하는 동안 다른 소나무 회원들과 만나는 접점 마련 (약1.5km) ex) 4~10월 매달 셋째 주 토요일 오전 10시, 지하철 역에서 목적지 까지
     ex) 합정역 또는 홍대입구역 → 망원 한강공원
    - 그린워킹 진행하는 달 : 4~6, 9~10월(총 5회차, 7~8월은 진행하지 않음) - 회당 참가자 10명×5회=총 50명


  • 움직이는소나무를 응원하자
    - 출근시간대(7시-9시) 지하철역 자전거 주차장에서 자전거로 출퇴근 및 통학하는 사람들 응원하는 캠페인
    -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움직이는소나무 소개 브로셔와 제로웨이스트 제품(대나무 칫솔, 고체치약 등 생활용품 중 선정) 전달

     : 1,500원×1,000개=1,500,000원
    - 움직이는소나무 회원 대상으로 참여의사 확인
     : 지역별로 묶을 수 있는 경우 서울 외 지역에서도 활동가들이 함께 진행
     : 이후 자발적 모임으로 구성. 브로셔 및 증정품은 진행하는 회원에게 전달
    - 장기적인 지역별 움직이는소나무 모임으로 구성해갈 수 있도록 진행 - 5월 한달 동안 주 1회, 총 5회 진행(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중심)

  • 예산 : 총 5,000만원

    - 홍보 및 마케팅 교육 : 500만원

    - 제로웨이스트 상품 연계 : 500만원

    - 온라인 광고대행 : 1,000만원

    - 앱 추가개발 및 관리비 : 3,000만원

    - 그린워킹 활동비 : 50만원

    - 움직이는소나무 앱 소개 브로셔 인쇄비 : 100만원

    - 제로웨이스트 상품 구매비 : 150만원


③ 주요 환경현안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고, 지자체의 정책과 의정을 감시하는 연대활동을 지속하겠습니다.

  • 서울시 및 의회 의정활동 감시·평가 「서울Watch」 
    - 서울와치 주요사업인 서울시 조례평가․예산안 모니터링, 서울시의회 의정활동 평가에 연대 단체들과 공동 참여하고 교통부문의 주요 정책을 모니터링하여 개선방안을 제안

     : 교통부문 조례평가, 예산안 모니터링, 의회 교통위원회 의정활동 및 행정사무감사 평가 진행
     : 기후동행카드, 수상버스, 교통수요관리정책 등 서울시 주요 정책에 대한 대안 제시

    - 경실련, 서울환경연합,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보공개센터, 함께하는 시민행동, 문화연대 등 연대 단체들과 진행

    - 서울Watch 사무국 간사 : 홍승우 교통환경팀 활동가


  • 주요 환경현안 공동대응 「한국환경회의」 
    - 2024 총선시민네트워크 연대를 통한 총선 대응

     : 수송부문 정책 입법 활동 제안 (이슈 모니터링과 연계한 법․제도 개선방안 정책 제안서 발송, 한국환경회의 차원에서 정당별 간담회, 토론회 진행시 수송부문의 제도 개선방안 마련)

     : 2024 총선시민네트워크 분담금 및 예산 관리

    - 환경 포럼 진행
     : 교통부문 이슈 모니터링을 주제로 한 포럼 기획 및 진행

      ※ 지자체 탄소중립 기본계획의 평가와 개선제안 (분야별 : 건물․수송․에너지)


④ 교통사고 피해가정을 위한 지원사업을 지속하겠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의 자녀가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합니다.
  • 장학금 이외에 가정에 필요한 물품지원 품목을 확대하고 기업과 개인 후원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장기적인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겠습니다.
  • 장학사업 : 2024년 93명 지속지원
    - 추가 신규장학생 선발은 외부 후원기관 확대시 진행
    : 후원기관별 월 또는 분기별 장학금 지급
    - 대학생 장학금 : 총 50명 내외 지원 (1,2학기)
    : 1학기와 2학기 장학생 신규선발, 한학기당 25명 내외 선발

  • 교육 물품 지원사업 : 도서, 교복, 인터넷 강의, 학원비[2024년 신규] 지원
    - 도서, 교복, 온라인 수강권 및 학원비

     : 미취학/초등 : 20만원, 중학교 : 30만원, 고등학교 : 40만원 [차등지급, 2024년 개편]
    - 온라인 기획모금을 꾸준히 진행하고, 기업과 연계한 기획모금으로 물품지원을 지속

  • 가정 심리치료 지속
    - 5가정 50회기 이상 심리치료 지원
      
  • 문화체험 활동
    - 가족단위 문화체험 기획

    - 총 3회 진행 : 상반기 겨울방학(수도권), 하반기 여름방학(수도권, 경상권)

  •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사업 모니터링
    - 교통사고 피해가정 현황조사 : 녹색교통 유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가족구성원 현황, 주 소득원 및 소득금액, 사고유형 및 현황(유휴장애, 사망등) 데이터화

    - 정부 자동차사고 피해가족 지원 대상규모, 지원 프로그램 및 예산 등 모니터링

⑤ 활동과 연계한 모금활동 및 회원관리를 체계화 하겠습니다.

  • 최근 몇년간 일시후원 규모는 최근 3년 동안 크게 증가했으나, 대부분 교통사고유자녀 지원사업에 대한 후원으로 수혜자에게 직접 지원되었으며, 전체 예산에서 일반 운영비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녹색교통의 활동을 알리는 적극적인 홍보 활동이 필요한 시점이며, 녹색교통 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일반 시민들을 모으고 후원 회원으로 연결시키는 회원 확대 활동을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활동 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
  • 단순하지만 체계적인 홍보 활동의 진행

    - 일반 시민 대상으로 녹색교통의 활동을 주기적으로 알림. 특히 진행 중 모금함, 캠페인 등에 대한 상시적인 알림(SNS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제작, 홈페이지 공지)
     - 기존 회원 및 홈페이지 가입자, 움직이는 소나무 앱 사용자 등 대상 월 1회 뉴스레터 발송 (매월 마지막주 월요일에 뉴스레터 컨텐츠 회의 정례화, 목요일에 메일 발송)
     - 보도자료 및 성명서, 토론회 및 포럼 자료,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결과 등의 자료를 발표 직후 카드뉴스 등으로 컨텐츠화하여 SNS와 홈페이지에 홍보

    ※ 교통팀 현안 및 유자녀 사업 현황 홍보를 위해 인스타그램 적극 활용


  • 기업 후원처 확대를 위한 활동

    -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사업,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 제안서 리뉴얼
     : 기업사회공헌 담당자 제안서 Feedback 진행

     : 보험사, 통신사, 물류(택배)회사, IT기업, 인플루언서 등 제안대상 특성에 맞게 협업․후원․사회공헌 활동으로 제안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

    - 기업 주소록 업데이트하여 상·하반기 각각 1회씩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사업 제안서 및 움직이는 소나무 사업 제안서 우편 발송 후 담당자 메일 발송


  • 정기후원 확대 캠페인 진행

     - 5월 가정의 달, 12월 연말 중 진행(총 2회)
     - 유자녀 정기회원 : 뉴스레터 구독자 중 비회원, 회비 납부를 장기간 중단한 유자녀 회원 중심으로 5월 중 회원가입 또는 회비납부 독려 메시지 전달(문자 및 전화), 신규 회원에게 회원 굿즈 제공(인스타그램 광고)
     - 녹색 정기회원 : 움직이는 소나무 앱 사용자, 교통팀 활동에 참여한 일반 시민, 회비 납부를 장기간 중단한 회원 중심으로 12월 중 회원가입 또는 회비납부 독려 메시지 전달(문자 및 전화), 신규 회원에게 선물 제공(인스타그램 광고)
     - 자동차 유튜버 대상 후원 캠페인 홍보 요청


  • 온라인 모금함 운영

    - 2023년 동안 기부금단체 재지정 이슈로 온라인 모금 활동이 중단되어 후원금 모집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없었음. 명확한 사업 대상과 주제를 바탕으로 모금함을 개설하여 일반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안정적인 재정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네이버 해피빈 모금함의 지속적인 운영,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및 교통팀 사업 관련 주제로 월 1회 이상 진행 

     : 2월) 교통사고 피해가정 교육비 지원 (수강료 및 물품 지원)

     : 3월) 미취학, 초등생 생활안정자금 지원 / 움직이는 소나무 앱 개발 후원

     : 4월) 초중생 장학금 지원 / 교통팀 사업 관련 후원

     : 5월) 가정의 달 맞이 선물 지원 (학습 물품) / 교통팀 사업 관련 후원

    - 카카오 같이가치 모금함의 지속적인 운영,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사업 주제로 격월 1회 이상 진행

     : 3월) 교통사고 피해가정 심리치유 사업 지원 / 고등학생 장학금 지원

     : 5월) 미취학, 초등생 생활안정자금 지원

     : 7월) 초중생 장학금 지원


  • 잠재적 후원자 관리 : 교통사고 유자녀 졸업생
     - 녹색교통의 장학생은 선발 후 고등학교 졸업까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고등학교 졸업 이후 별도로 관리를 하고 있지 않으며, 희망장학금 장학생 졸업시 문화체험 등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후원회원으로 연계되지 못함
     - 단체의 활동을 잘 알고 있고 유자녀와 친밀도가 있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문화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로 적극적으로 섭외하고 후원 회원 가입을 요청
    - 최근 3년 이내 졸업한 녹색교통 장학생, 대학생 졸업자 명단을 취합하여 정보 관리


  • 회원 관리 시스템 체계화
    - 회원 관리 프로그램인 도너스를 적극 활용하여 현재 뒤죽박죽되어 있는 회원 현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회원 및 회비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존 회원 관리 및 신규 회원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음.
     : 구성원 분류 작업 및 회비 납부 현황 파악
     : 모든 회비 및 후원금 정보(무통장 입금, 지로, 온라인 모금함 등)를 도너스 시스템에 입력하여 정보 일원화, 향후 내부 회계 자료와 매칭될 수 있도록 함. 
     : 신규 회원 확인 전화, 뉴스레터 발송, 첫 번째 납입 확인 및 감사 메시지, 생일과 명절 축하 메시지 전달, 가입 1년 경과 시 선물 발송 등 일련의 과정을 도너스 프로그램 활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세팅


  • 교통사고 피해가정 후원기관 피드백 일상화
     - 후원 기관별 후원금 사용현황에 대한 공문, 홈페이지 게시, 보도자료 배포 진행
     - 후원 기관에 연말 손편지 모음집 발송_11~12월
     - 기부금영수증 미발급 기관에 기부금 영수증 발급 안내

(2) 2024년 예산안

  • 2024년 총예산은 1,030,000,000원으로 계획하였습니다.


  • 녹색교통 일반회계는 490,000,000원으로 예산을 수립하였습니다.


  •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는 635,500,000원으로 예산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회원 기타 의견


- 고생 많으셨습니다.2024년도 녹색교통이 더욱 힘차게 도약하길 기원합니다


-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이 녹색교통의 대표 캠페인으로 시민들에게 각인되어 지속적으로 캠페인을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난 1년간 운영하면서 이용자들의 개선사항 혹은 보완사항이 무엇이 있는지 설문조사 혹은 참여자 아이디어 회의(신문사 독자위      원처럼)를 진행해보면 좋을 것 같고요, 이를 토대로 리뉴얼해서 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는 것이 좋을 것 같습     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 어려운 시기에도 꾸준히 의미 있는 활동을 지속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녹색교통운동 활동에 감사드립니다.


-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 창립멤버입니다. 잘 하고 있으리라 믿습니다. 언제 한번 가보고 싶은데 아쉽습니다.


- 민만기 대표님, 송상석 이사님, 김광일 처장님. 늘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2024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안건의 승인 : 2024.3.19(화) 18시~3.28(목) 18시까지

※ 이름과 연락처를 꼭 남겨주세요. 총회 의결권 확인을 위한 정보로 사용됩니다.

신청 기간이 마감된 페이지 입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해 주세요.

응답기간: 2025-03-19 - 2025-03-27

--

2024년 총회 자료집 다운로드 ( ※ 온라인 보기가 불편하신 회원분들은 아래 pdf 파일로도 안건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4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안내

- 일시 : 2024년 3월 28일(목) 18:30 [19:00 시작]

- 장소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지하1층 모이다(다목적홀)
(서울시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4․6호선 삼각지역 도보 5분 소요)

※ 금번 총회에서는 법인등기변경으로 인하여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가 필요합니다. 당일 서류와 도장을 지참하시여 참석을 요청드립니다.

#움직이는소나무 의 새로운 소식을 SNS로 만나보세요!

기부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 입력


아래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기부금영수증 발급정보 안내 문자를 보내드립니다.

--
회사명(이하 ‘회사’라 한다)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 공개합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물품 배송, 서비스 제공, 계약서 및 청구서 발송, 콘텐츠 제공, 맞춤서비스 제공, 본인인증, 연령인증, 요금 결제 및 정산, 채권추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고충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회사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 이용 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 시에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 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 보유합니다.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 사업자/단체 홈페이지 탈퇴 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 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 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 및 채무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 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 재화․서비스 공급완료 및 요금결제․정산 완료 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종료 시까지
1)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표시․광고, 계약내용 및 이행 등 거래에 관한 기록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월
- 계약 또는 청약 철회, 대금결제, 재화 등의 공급기록 : 5년
- 소비자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2) 「통신비밀보호법」 제41조에 따른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
- 가입자 전기통신일시, 개시․종료 시간, 상대방 가입자 번호, 사용도수, 발신기지국 위치추적자료 : 1년
- 컴퓨터 통신, 인터넷 로그 기록자료,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제3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①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 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그 외에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② 회사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예) (주) OOO 카드>
-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예) 이벤트 공동개최 등 업무제휴 및 제휴 신용카드 발급>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예)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카드결제계좌정보>
- 제공받는 자의 보유, 이용기간 : <예) 신용카드 발급계약에 따른 거래기간동안>


제4조(개인정보처리의 위탁)
① 회사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 위탁업무 내용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홈페이지 제작사-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쇼핑몰 호스팅 서비스의 시스템 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및 부가, 제휴서비스 제공 및 알림톡, 친구톡, 문자메시지 발송대행 서비스 등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PG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결제 및 에스크로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택배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상품 배송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고객센터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고객상담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본인확인 업무
- **재위탁사**
- **재위탁받는 자(수탁자) : OOO 홈페이지 제작사 → 인포빕(유)**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문자메시지 발송, 카카오톡 알림톡(정보성 메시지) 발송 업무**
- **재위탁받는 자(수탁자) : OOO 홈페이지 제작사 → (주)루나소프트**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문자메시지 발송, 카카오톡 알림톡(정보성 메시지) 및 친구톡 발송 업무**
② 회사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③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5조(정보주체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 방법)

①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회사에 대해 서면, 전화,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해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회사는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④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⑤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회사가 처리하고 있는 정보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제6조(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
회사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필수항목 : <예)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성별, 이메일주소, 아이핀번호>
선택항목 : <예) 결혼 여부, 관심 분야>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필수항목 : <예)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아이핀번호, 신용카드번호, 은행계좌정보 등 결제정보>
선택항목 : <관심분야, 과거 구매내역>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① 회사는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회사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회사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 방법
회사는 전자적 파일 형태로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도록 파기하며, 종이 문서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제8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회사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제9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회사는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또는 모바일에 저장됩니다.
③ 정보주체는 웹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서 쿠키 허용/차단
- 크롬(Chrome) : 웹 브라우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엣지(Edge) : 웹 브라우저 설정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쿠키 허용/차단
- 크롬(Chrome) : 모바일 브라우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사파리(Safari) : 모바일 기기 설정 > 사파리(Safari) > 고급 > 모든 쿠키 차단
- 삼성 인터넷 : 모바일 브라우저 설정 > 인터넷 사용 기록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④ 회사는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사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수집・이용하고 있습니다.


제10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회사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OOO
직책 : OOO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OOO 팀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② 정보주체께서는 회사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회사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제11조(개인정보 열람청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처리 부서
부서명 : OOO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제12조(권익침해 구제 방법)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2.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3.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police.go.kr/minwon/main)


제13조(개인정보 처리방침 시행 및 변경)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XX. X. X. 부터 적용됩니다.

사단법인 녹색교통운동
(03969)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39 (성산동249-10) 시민공간 나루4층
· TEL : 02-744-4855 · FAX : 02-744-4844 · E-mail : kngt@greentransport.org
· 
사업자등록번호 : 102-82-0799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8-서울마포-0435호

· 이사장 : 고윤화 · 공동대표 : 전재완, 민만기 · 사무처장 : 김광일

사단법인 녹색교통운동

· 이사장 : 고윤화 · 공동대표 : 전재완, 민만기 · 사무처장 : 김광일
· 주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39 시민공간 나루4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2-82-0799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8-서울마포-0435호
· TEL : 02-744-4855

· E-mail : kngt@greentransport.org

움직이는 소나무로 녹색교통을 실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