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 의결 기간 
   : 2025년 3월 19일(수) 17시 ~ 3월 26일(수) 24시 (대면총회 개시전) 까지

※ 3월 27일(목) 개최되는 대면 총회에서 안건별 의사 최종 확인 후 의결함.

 정기총회 개최안내 공고문


● 방법
   : 홈페이지에 게시된 총회 의결 안건을 확인하고 맨 하단 입력폼에 온라인으로 의결함.
    (대면총회 참석 예정인 회원도 온라인으로 사전에 의결이 가능합니다.)


2025년 총회 자료집 다운로드

※ 온라인 보기가 불편하신 회원분들은 아래 pdf 파일로도 안건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Ⅰ. 개회

○ 지난 3월 13일(총회개최 14일전)에 3월 27일 총회 개최와 관련한 내용을 홈페이지 공고, 회원 이메일·문자로 안내

○ 총회 의결의 최소 정족수는 50명으로 이중 과반수의 온·오프라인 참여로 총회가 성립됨

○ 총회 개최 6개월 전 회원자격을 유지한 1,892명을 대상으로 이메일(422명) 및 휴대폰 연락처(545명)가 있는 회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총회 의결을 요청

○ 총 61명이 온라인 총회 의결에 참여


Ⅱ. 전차 회의록 검토

○ 2024년 정기총회는 2024년 3월 27일 19시에 게시 되었으며, 총 57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2023년 활동보고 및 활동감사보고, 2023년 결산보고 및 회계감사보고에 대하여 별도의 의견이 없이 원안 승인되었습니다.

○ 임원의 연임 및 사임에 관한 사항은 연임 14명, 사임 3명으로 총회 상정안이 승인되었습니다.

○ 이사장과 공동대표 선출과 관련하여 신규 이사장으로 고윤화, 신규 공동대표로 전재완 이사가 총회준비 이사회에서 추인되어 총회에 승인되었습니다.

○ 2024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의 승인과 관련하여 후원회원 확대, 녹색교통 지표 모니터링 사업 등이 제안되었고 총회 상정안이 승인되었습니다.

○ 기타 안건으로 사업의 추진과 관련하여 이사회와 운영위원회에서 사무처 운영 사항을 고려한 전략을 논의 해달라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  2024년 정기총회는 20시 42분에 폐회되었습니다.


○ 온라인 찬성 60명, 반대 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Ⅲ.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1.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 임기만료된 6인 중 연임의사 표명 6명
    민만기, 송상석, 이규진, 김필수, 안기정, 이용상
  • 연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총회에 임원 재위촉을 요청함.

2. 연임의사 표명 감사에 대한 재위촉의 건

  • 임기만료된 1인 중 연임의사 표명 1명
    정란아(회계감사)
  • 연임의사를 밝힌 감사에 대하여 감사 재위촉을 요청함.

3. 신규임원 및 감사 위촉의 건

  • 총회준비 이사회에서는 신규 이사를 별도로 추인하지 않음.
  • 향후 공동대표를 포함한 임원의 위·해촉, 감사의 위·해촉이 필요한 경우 이와 관련한 사항은 이사회에 위임하여 추인할 것을 요청함.


[2025년 녹색교통운동 임원 변경안]

연번
성명
구분
변경사항
1
고윤화
이사장/운영위원*
-
2
전재완
공동대표/운영위원*
-
3
민만기
공동대표/운영위원*
재위촉
4
김경진
이사/운영위원*
-
5
김성한
이사/운영위원
-
6
박상준
이사/운영위원
-
7
송상석
이사/운영위원
재위촉
8이규진이사/운영위원*재위촉
9
임영욱
이사/운영위원
-
10
정용일
고문*
-
11
김동영
이사
-
12
김필수
이사
재위촉
13
김홍석
이사
-
14
박성욱
이사
-
15
박진영
이사
-
16
안기정
이사
재위촉
17
이용상
이사
재위촉
18
조경두
이사
-
19
조성규
이사
-
20
최회명
이사
-


* 이상 총 20명

* 감사 2인 : 사업감사(백남철)[임기중], 회계감사(정란아)[재위촉]

* 법인등기이사 (총 6명)



1.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 온라인 찬성 60명, 반대 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2. 연임의사 표명 감사에 대한 재위촉의 건

○ 온라인 찬성 60명, 반대 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3. 신규임원 및 감사 위촉의 건

○ 온라인 찬성 60명, 반대 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Ⅳ. 2024년 활동 및 감사보고

1. 2024년 활동보고

(1) 녹색교통수단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을 확대하였습니다.

○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은 녹색교통수단인 걷기, 자전거, 대중교통 이용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시민참여 캠페인입니다.
 - 2023년에는 「움직이는 소나무」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4년 참여자를 확대하였습니다.

 - 제로웨이스트 업체와 협업을 통해 챌린지 공동홍보와 캠페인 참여 쿠폰등을 제공하였습니다.

 -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한 자출 시민 홍보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챌린지와 함께 이용자들의 기후위기 및 제로웨이스트 제품 이용과 관련된 인식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 연중 움직이는 소나무 캠페인 참여자 : 1,214→2,640명(회원가입자 기준)

 -  캠페인 참여자 총 이동거리 : 262,740→1,046,061km

 -  탄소 감축량 : 30,445→122,212kgCO2

 -  모두가 함께 심은 소나무 : 3,691→12,479그루

※ 중부지방 25년생 소나무 기준, 승용차 이용 대신 녹색교통수단 이용시를 가정하여 산정


○ 자출 오프라인 홍보 : 총 4회 (망원역, 합정역, 홍대입구역, DMC 역 일대)


○ 정기챌린지 13회, 특별챌린지 6회, 월간 첼린지 7회, 총 26회 챌린지 진행


○ 오프라인 캠페인(그린워킹) : 총 5회 진행, 총 73명 참여


○ 설문조사 : 1차 357명, 2차 170명, 3차 517명 참여, 총 1,044명 설문조사 진행



(2) 현안 교통환경 이슈를 공론화하고 정책과 의정을 감시하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① 녹색교통운동 탄소중립 포럼을 개최, 교통부문 시민참여형 탄소감축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였습니다.

○ 포럼 발제

- 교통부문 탄소감축 프로그램 사례 및 적용방안

- 교통부문 기업 ESG 사례 및 적용방안

○ 주요 논의사항

- 움직이는 소나무 활동을 통해 줄인 탄소량을 기업의 ESG 활동의 연장선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

- 기업 공시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플랫폼 고도화 진행

- 기업에 사회공헌 활동 제안서 제작 필요

② 연대활동으로 한국환경회의 참여로 주요 환경현안에 대해 회원단체들과 공동으로 대응하고 활동가대회 기획단에 참여하였습니다.

○ 주요 활동

- [환경포럼] 총 8회차 포럼 진행, 1차포럼(22대 국회의 기후생태정치를 위한 모색)

※ 수송부문 기후생태정치 주요 이슈 발제, 2024.6.25. 포럼자료집

- [환경활동가대회] 2024.9.25.~9.27, 공동 기자회견, 활동가 쉼 및 네트워크 프로그램 진행

- [간담회] 한국환경회의-민주당 환노위 위원 간담회, 2024.6.24.

- [기타] 홈페이지 개편, 2024.11~12

③ 서울Watch 활동을 통해 서울시 교통 정책과 서울시의회 의정활동을 모니터하고 대안을 제시하였습니다.

○ 참여단체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녹색교통운동, 문화연대, 서울환경연합,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함께하는 시민행동

○ 주요활동

 - 서울시의회 행정감사 모니터링, 2024.11~12, 모니터링 결과보고서

 - 시민단체, "서울시의회 서울혁신파크 부지 기업 매각 중단해야", 한국NGO신문, 2024.11.26. 

④  2024총선시민네트워크를 통해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10대분야 46개 정책과제 중 기후환경분야 의제를 제안하고 공동 온라인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참여단체 : 전국 19개의 의제별 연대기구와 79개 시민사회단체

○ 주요활동

- 2023.12~1 21대 국회 입법활동 모니터링 : 환경분야 입법 분석

- 2023.12~1 2024년 총선시민네트워크 출범 준비 기획

- 2024.1. 31 총선넷 발족 기자회견

- 2024.2.19 총선넷 1차 공천반대 명단 발표 및 기자회견

- 2024.2.27 총선넷 2차 공천반대 명단 발표 및 기자회견

- 2024.3.19 총선넷 10대 분야 46개 정책과제 발표  정책과제 자료집
 ※ 수송부문 : 신공항 건설 중단과 공공교통 강화 정책 마련

- 2024.3.28~4.4 총선넷 유권자 캠페인단 ‘전국 릴레이 플로깅 투어’ 진행

- 2024.3.27 ‘시민이 뽑은 22대 총선 최악의 후보, 최우선 정책’ 결과 발표 온라인투표 결과 


[4·10총선 기후 공약 짚어보기] “신공항 건설 등 SOC 공약, 탄소 배출 많아 부적절”, 투데이신문, 2024.4.4 


⑤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운영위 단체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이후 윤석열의 즉각 퇴진과 퇴진 이후 한국 사회의 대개혁을 위해 활동하는 시민사회 연대기구 

○ 참여단체 : 전국 1,719개 노동시민사회단체

○ 주요활동

- 2023.12.11 발족 기자회견 이후 범시민대행진, 전국행동, 시국회의, 기자회견 등 주최

- 녹색교통운동은 비상행동 상황실 실무자 파견(사무국-김광일, 정책기획팀-김장희, 선전홍보팀-김지호)  비상행동 홈페이지 

- 사회대개혁 특위 기후환경소위 정책 제안 참여  사회대개혁 시민대토론회 후기



(3) 교통·환경 이슈 관련 성명서·논평·언론인터뷰 등

○ 교통·환경 이슈 관련 성명서·논평․언론인터뷰 등

 - [입장문]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에 따른 녹색교통운동의 입장문, 2024.12.24

 - 박필순 “복합쇼핑몰 입점…광천권 교통대책 보완해야”, 전남일보, 2024.12.17

 - [단독] 법원, 한양도성 배출가스 5등급 차량 단속 '제동', 오마이뉴스, 2024.10.29.

 - [성명서] 국회는 즉각 탄소중립법 개정 논의를 시작하고, 정부는 2030년까지의 부문별 이행계획을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 2024.8.30

 - “깜짝이야” 보행 위협 전동킥보드…사고 급증에 커지는 규제 목소리, 2024.08.27

 - 尹 "주민 원하면 케이블카 추가"…환경단체 '총선용' 반발, 노컷뉴스, 2024.3.12.

 - 교통비 할인 정책, 진짜 '기후동행' 효과 있으려면, 한국일보, 2024.2.28.

 - “10분 내외 생활권 이동 10%는 자전거로”...자전거만 타도 탄소중립 앞당겨, M이코노미뉴스, 2024.2.21.

 - 아동의 생존권 위협하는 이면도로, 주간경향, 2024.2.18.

 - [논평] 이미 실패가 확정된 한강리버버스, 2024.2.1

 - 녹색교통, 버스 차령 연장…"탄소중립·친환경차 보급정책에도 반하는 것", 포스트데일리, 2024.1.25.

 - [논평]기후도 동행도 사라진 기후동행카드, 2024.1.22

 - 오세훈표 ‘기후동행카드’ vs 김동연표 ‘더경기패스’… 승자는? [심층기획-불붙은 수도권 ‘교통대전’], 세계일보, 2024.1.21.


(4) 활동기반 마련을 위한 연간 모금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① 상반기 후원행사·하반기 송년호프

○ 녹색교통운동 31주년 기념 행사 ‘함께 GREEN 도시’

- 일시 : 2024.6.11.(화) 6시 30분

- 장소 : 서강대 곤자가 컨벤션

○ 녹색교통운동 송년호프 ‘소나무 친구들 모이30’

- 일시 : 2024.12.18.(수) 오후 6시

- 장소 : 설맥 신촌점

- 송년호프 진행, 경품행사

② 온라인 모금함 운영 및 기업 연계 기획모금 진행
○ 네이버 해피빈, 다음 같이가치 플랫폼에 움직이는 소나무,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관련 모금함 개설하였습니다.
- 총 8건, 모금액 32,139,100원

○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기업인 현대모비스와 함께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한 기획모금을 진행하였습니다.

- 총 5회, 모금액 8,719,500원

- 지원내용 : 가방, 책상, 테블릿PC, 운동화, 수능 원서비, 노트북 등


③ 신규 기업 후원 확대를 위한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 제안

○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사업 제안서를 리뉴얼하고 주요 기업에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제안하였습니다.

- 대상 : 지속가능보고서 발간기업, 복지재단, 보험사 등

- 총 562건의 사업제안서 발송



(5) 교통사고 피해가정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 1993년 설립년도부터 시작한 교통사고피해가정에 대한 다양한 지원활동이 2023년에도 지속되었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의 미취학·초·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이 지급되었습니다.
    - 도서와 교복, 인터넷 강의 등의 물품 지원사업이 매학기 진행되었습니다.
    - 교통사고 트라우마 등을 치유하기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지원되었습니다.
    -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별 문화체험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 기관 후원
    - 남성종합 모델(주), 도로교통공단 인천지부, 이탈에너지(주), 전국개인택시공제조합, 청호불교재단, 코리안리재보험(주), 현대모비스(주), 현대모비스 대리점 협의회, 현대자동차(주), AXA손해보험(주)


① 미취학 및 초·중·고 장학사업

○ 지원대상 : 91명 (가정당 1명)

○ 총 장학금 지급액 3억 4,270만원

○ 외부결연기관 : 현대모비스, 코리안리재보험, 청호불교재단


② 대학생 장학사업

○ 장학생 선발 : 1학기 총 31명, 2학기 총 25명, 합계 56명 선발

- 학기당 150만원 장학금 지급


③ 교통사고 피해가정 물품 지원사업

○ 물품 지원 규모 : 가정당 40만원 이내

- 지원 물품 : 도서, 교복, 학습지, 인터넷 강의 등 교육에 필요한 물품 지원

○ 총 지원현황

- 도서 : 499권

- 교복 : 9벌

- 인터넷 강의 및 학습지원 : 6가정

- 교육물품 : 2가정

- 총지원액 : 21,947,120원


④ 지역별 교육 프로그램

○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체험 활동의 기회가 적은 장학생들에게 문화공연의 기회를 제공.

○ 진행결과

- 뮤지컬 레미제라블 관람, 총 12명 참여

- 수도권 아쿠아리움 관람, 총 24명 참여

- 뮤지컬 마타하리 관람, 총 8명 참여


⑤ 가정 심리치료 지원

○ 교통사고 가정 피해의 정신적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한 심리상담 치료 지원

○ 진행결과

- 총 2명, 22회기 심리상담 치료 지원

2. 2024년 활동감사 보고

○ 온라인 찬성 6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 사무처 활동가님들, 고생하셨어요.


Ⅴ. 2024년 결산 및 감사 보고

1. 2024년 재정결산 보고

  • 2024년 총수입은 772,233,219원, 총지출은 961,144,041원으로
    수지는 -188,910,822원으로 결산되었습니다.
    - 총수입은 772,233,219원, 총지출은 961,144,041원으로 전년대비 수입은 424,843,424원 감소하였고, 전년대비 지출은 192,339,884원 감소하였습니다.

    - 통합 수지는 -188,910,822원으로 2023년 +41,594,256원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 일반회계 지출부에는 전기인 2023년의 연대사업비 지출이 2024년으로 이월된 금액이 포함되었으며 이월금은 총 204,243,420원입니다.


  • 녹색교통 일반회계는 전기 대비 수입은 359,475,860원 감소, 지출은 1,998,462원 감소 하였습니다.
    - 프로젝트사업 수입감소, 연대사업비 이월 지출증가로 전기 대비 수입과 지출의 변화가 큰폭으로 있었습니다.
    - 연대사업(한국환경회의)의 2024년 이월지출로 인해 수입에 비해 지출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월 지출금액 204,243,420원)
    - 프로젝트사업 및 연대활동사업 수입이 전기 대비 372,163,293원 감소하였습니다.
    - 후원·기부금의 비율은 전체 수입의 70.5%를 차지하였습니다.


  •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는 전기 대비 수입은 65,367,564원 감소, 지출은 192,339,884원 감소 하였습니다.
    - 전기 대비 수입과 지출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안정적인 기금을 운영하였습니다.- 온라인 모금함 후원금의 감소 영향으로 전기 대비 일시 후원금이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 활동사업비 수입의 경우 단기지원사업 종료(7,000만원)로 감소하였으나, 대학생 장학금 지원사업의 사업비가 증가(2,000만원)하여 501,077,000원으로 결산되었습니다.
    - 장학사업비는 장학생 수 소폭 감소에 따라 사업비 지출이 소폭 감소, 교육사업비는 의료비·필수가전 지원사업종료로 인해 지출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  전체 살림 규모는 자산 621,329,169원으로 2023년(768,932,850원)보다 감소하였고, 부채는 340,894,852원으로 2023년(299,587,710원) 대비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 일반회계의 2023년 사업의 비용 지출이 2024년 당기로 이월되면서 특별회계 유동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당기 유동자산이 전기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되었습니다.


2. 2024년 회계감사 보고

○ 온라인 찬성 6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Ⅵ. 2025년 활동계획 및 예산안

1. 2025년 활동계획

  • 활동목표
    단체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한 전문적 역량을 높이고, 지지 기반을 확대하여 교통 정책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 세부사업
    ① 수송부문의 온실가스를 실효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활동

    ② 시민 참여를 통한 교통·환경 의제 확산

    ③ 교통사고피해가정 지원사업의 지속

    ④ 활동과 연계한 안정적 재정기반 마련 : 지지기반 확장을 통한 재정 안정화 기여


(1) 수송부문의 온실가스를 실효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활동

  • 연구사업과 캠페인을 통해 수송부문의 탄소중립·NDC 달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정례 포럼을 통해 교통·환경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 단체 역량을 강화시킨다.

① 2035 NDC 수송부문 감축목표 수립을 위한 제도개선 활동

  •  제철소와 제작사 간의 벨류체인 분석, 원재료 공급 단계부터 폐기까지 전과정에서의 탄소중립 필요성을 제안
  • 수송부문의 탄소중립, NDC 달성을 위해 내연기관 차량 퇴출의 필요성, 신규 자동차 온실가스 규제강화 필요성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 마련
  • 정부·국회·제작사를 대상으로 한 수송부문 NDC 목표 상향과 규제 정책 도입 촉구

② 2050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온·오프라인 캠페인 활동

  • 온라인과 오프라인 홍보와 내연기관차 판매중단 시민서명
    - 내연기관차 판매중단 온라인 캠페인 페이지 구축, 서명활동, 온라인과 오프라인 홍보활동 진행
    - 오프라인 : 3.8 여성대회 부스 참여(3월 8일), 지구의날(4월), 환경의날(6월), 에너지의 날(8월), 차없는날(9월)
    - 온라인 : 빠띠 서명 캠페인(지구의 날, 환경의 날, 에너지의 날 등) : 온라인 서명을 위한 집중 홍보 진행
  • 시민들로부터 받은 서명을 모아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을 촉구하는 공개 입장문 요구 (11월) 
    - 서명 목표 1만명
  • 내연기관차 판매중단 촉구 환경단체 공동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및 현장 퍼포먼스 진행(11월)

③ 교통·환경분야의 현안 이슈를 밀도있게 논의하는 녹색교통 정례포럼 운영

  • 매월 교통 이슈 주제를 선정해 포럼운영(3월~6월, 9~10월 총 6회)
    - 전문가 발제 1~2인, 토론자 5인으로 구성+시민자율참가
    - 포럼에서 논의된 내용은 온라인을 통해 홍보
    - 주제별로 이슈페이퍼로 제작 6회
    - 제도 개선이 필요한 내용의 경우 후원자·잠재적 기부자들에게 전달. 정부 기업에 개선방안 요구 (※ 필요시 조사 및 후속 연구 진행)


(2) 시민 참여를 통한 교통·환경 의제의 확산

  • 움직이는 소나무 운영을 통한 활동 지지기반을 마련하고, 시민참여형 캠페인을 통해 교통 의제를 확산시킨다.

① 움직이는소나무 운영을 통한 활동 지지기반 마련

  • 움직이는소나무 앱 활성화
    - 움직이는소나무 앱 일부 개편을 통해 오류사항을 해결하고 회원들에게 정보제공 및 소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
    - 앱 오류 수정(비정상적 종료, 비정상 알림, gps 추적 관련 등)
    - 새글 알림기능 추가, 공지사항 및 움소이야기 연동(홈페이지 특정 게시판)
    - 구글 온라인 광고 통해 참여자 유입(24년 360만원/1,500명 모집)
    ※ 추가 리뉴얼의 경우 하반기 기획 후 앱 이용이 줄어드는 겨울철(11월~2월) 중 진행
  • 앱 이용자 중심의 활동 진행
    - 앱 이용자를 중심으로 앱 내 게시판을 통해 녹색교통수단 이용 관련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참여자들의 실천 지속성을 마련
    : 움소이야기 게시판에 주제별 컨텐츠 지속 업로드
    : 참여자 확대나 챌린지 혜택보다 의미 전달 차원의 챌린지 중심으로 진행
    예) 지구의 날 주간에 녹색교통수단 관련 1일 1피켓 SNS게시(7일간), 환경의날 대중교통 이용 4행시 짓기 등
    - 지구의 날(4/22), 환경의 날(6/5), 차 없는 날(9/22), 보행자의 날(11/11)

② 교통 의제 확산을 위한 시민참여형 교통·환경캠페인 추진

  • 인스타툰 공모전 진행
    - 5천 팔로워 이하의 소규모 인스타툰 작가들을 대상으로 여러 교통의제를 주제로 한 홍보컨텐츠 생산 및 전달(2~3회)
    : 차 없이 이동할 권리, 내연기관차 판매중단 필요성, 교통에너지환경세(유류세) 개편이 필요한 이유 등
    - 상금 : 대상 30만원(1명), 최우수상 15만원(1명), 우수상 5만원(3명), 장려상 스타벅스 기프티콘 5,000원권(20명) 총 60만원
    - 선정 기준: 주제 부합, 참여지표(좋아요, 댓글, 공유 수) 등
  • 대학생들과 함께하는 온/오프라인 환경 캠페인
    - 대학 환경동아리 중 2~3곳을 개별 섭외하여 100만원의 활동비를 지급하고 제안한 내용에 대해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
    : 홍대 ‘뚝딱뚝딱’, 연세대 ‘연그린’, 숙명여대 ‘GPS’, 경북대 ‘이룸’ 등
    - 주제 : 내연기관차 판매중단을 위한 캠페인
    - 방법 : 오프라인 서명받기, 온라인 서명페이지 공유, 영상 콘텐츠 제작, 기자회견 참여(팀당 1인 이상 발언), 교육(오프라인 OT 1회 진행)

(3) 교통사고 피해가정을 위한 지원사업을 지속하겠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의 자녀가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합니다.
  • 기업과 개인 후원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장기적인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겠습니다.

① 미취학 초·중·고 장학사업 : 2025년 80명 지속지원

  • 추가 신규장학생 선발은 외부 후원기관 확대시 진행
    : 후원기관별 월 또는 분기별 장학금 지급


② 대학생 장학금 지원사업 : 2025년 56명(분기별 28명) 지원

  • 지정기탁사업 : 50명
  • 자체 모금사업 지원 : 6명


③ 교육 물품 지원사업 : 도서, 교복, 인터넷 강의, 학원비 지원 : 장학생 80가정 대상

  • 도서, 교복, 온라인 수강권 및 학원비
    : 미취학/초등 : 20만원, 중학교 : 30만원, 고등학교 : 40만원 [차등지급]
    - 온라인 기획모금을 꾸준히 진행하고, 기업과 연계한 기획모금으로 물품지원을 지속
  • 기업 임직원 기획모금 운영(2, 4, 10, 12월)
    - 250만원*4회
    - 대상 : 장학생 40명
    - 태블릿, 어린이날 선물, 긴급 생활비 지원 등


④가정 심리치료 지속 : 4가정 40회기 이상

  

⑤ 문화체험 활동 : 연 3회

  • 문화체험의 기회가 적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체험 활동 제공, 가족단위 문화체험 기획진행
  • 총 3회 진행 : 상반기 겨울방학(수도권), 하반기 여름방학(수도권, 경상권)

(4) 활동과 연계한 안정적인 재정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

  •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사업의 안정적인 재원기반 마련을 위해 개인·기업후원 확대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 녹색교통의 의제에 공감하는 시민들을 지지자 및 후원자로 전환하여, 녹색교통운동 활동의 지지기반을 확장하고자 합니다.

① 녹색교통 정기후원 확대를 위한 모금 컨설팅 및 실행사업 시행

  • 2분기 내 모금컨설팅 진행
    - 기존후원자 증액 캠페인 실행
  • 3분기에는 잠재적후원자 발굴 및 정기후원자 전환
    - 기업 컨설팅을 통해 개인과 기업 중 집중할 대상 선택
    - 개인 후원의 경우, 움직이는소나무 회원 및 2035 내연기관차 판매중단 서명 참여자를 우선 대상으로 함(목표: 1만명 모집, 이 중 10% 후원자로 전환)


② 후원 관리 시스템 체계화 및 후원회원·기관 관리

  • 후원자 관리를 위해 ‘미납일 기준 1년 이상 미납시 약정 임의 종료’ 원칙을 기준으로 명단 분기별 업데이트 진행
  • 후원 기간 등 히스토리를 최대한 보존하며 MRM과 도너스 회원 간 중복 제거 작업 진행
  • 지로/무통장 회비 및 무통장 후원금을 도너스에 통합, 후원금 정보 일원화
  • 기존 후원기업의 지속을 위해 연말 손편지, 기부금 영수증 발행, 협약서 관리 및 차기년도 협약서 제안 진행


③ 잠재후원자 관리 시스템 구축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마케팅 및 홍보 활용 동의’ 약관 작성
  • 움직이는소나무 참여자, 온·오프라인 캠페인에서 받은 서명 명단을 도너스에 업로드 해 체계적으로 관리
  • 캠페인 후속 소식 및 단체 소식을 전달하여 잠재적 지지자를 후원자로 전환(서명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내 후원회원으로 제안)


④ 후원회원 확대를 위한 후원요청 페이지 리뉴얼 

  • 랜딩페이지 개편
    - 교통사고 피해가정 사례 및 사진 아카이빙
    - 녹색교통 활동 소개 및 후원이 필요한 의제에 대한 내용 반영
    - 캠페이너스를 통해 랜딩페이지 구축


⑤ 온라인 홍보매체별 방향성 수립 및 지속

  • 매체별 방향성
    - 인스타그램 : 녹색교통운동 잠재적 지지자(팔로워)와의 상호교류, 뉴스레터 콘텐츠를 인스타그램 형식에 맞춰 재가공 후 업로드, 인스타그램에 발행한 게시물(피드)은 네이버블로그와 공식 홈페이지에도 업로드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에서 ‘녹색교통운동’ 또는 교통의제(예: 골목길 안전속도) 검색 시 상단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함
    - 홈페이지 : 녹색교통운동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을 상정하여 아카이빙용으로 활용

(3) 주요 환경현안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고, 지자체의 정책과 의정을 감시하는 연대활동을 지속하겠습니다.

① 서울시 및 의회 의정활동 감시·평가 「서울Watch」

  • 서울와치 주요사업인 서울시 조례평가․예산안 모니터링, 서울시의회 의정활동 평가에 연대 단체들과 공동 참여하고 교통부문의 주요 정책을 모니터링하여 개선방안을 제안
    - 교통부문 조례평가, 예산안 모니터링, 의회 교통위원회 의정활동 및 행정사무감사 평가 진행
    - 기후동행카드, 수상버스, 교통수요관리정책 등 서울시 주요 정책에 대한 대안 제시
    - 경실련, 서울환경연합,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보공개센터, 함께하는 시민행동, 문화연대 등 연대 단체들과 진행


② 주요 환경현안 공동대응 「한국환경회의」

  • 2025 대선대응 TF
    - 수송부문 정책 입법 활동 제안 (이슈 모니터링과 연계한 법․제도 개선방안 정책 제안서 발송, 한국환경회의 차원에서 정당별 간담회, 토론회 진행시 수송부문의 제도 개선방안 마련)
  • 전국환경활동가대회
  • 환경포럼
  • 환경활동가 교육

2. 2025년 예산안

  • 2025년 총예산은 900,000,000원으로 계획하였습니다.
    ※ 교통사고유자녀특별회계 차기년도 이월금 포함이며
  • 전년 결산 기준으로는 소폭 감소된 계획입니다. 다만, 전년보다 활동사업을 활발히 하기 위해 프로젝트 사업비중을 높여 계획하였습니다.


  • 녹색교통 일반회계는 270,000,000원으로 예산을 수립하였습니다.


  •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는 630,000,000원으로 예산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 온라인 찬성 61명

○ 현장의결 찬성 00명, 반대 0명 

※ 온라인 소식지 발간 기간 정례화(월2회) 및 임원 칼럼 기획 진행

Ⅶ. 기타안건

기타안건 및 제안은 아래 총회 안건 의결시 남겨주세요.

○ 2024년 힘든 한해 였습니다. 2025년도 쉽지 않겠지만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잘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 활발한 활동에 감사드립니다.

○ 매달 자동이체 5,000원을 10,000원으로 하겠습니다.

○ 고생이 많으십니다. 늘 응원합니다.

○ 정기후원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폭넓은 sns상의 홍보는 어떨까요

2025년 정기총회 자료집 다운로드

2025년 정기총회 안건 승인하기


● 의결 기간 
   : 2025년 3월 19일(수) 17시 ~ 3월 26일(수) 24시 (대면총회 개시전) 까지

※ 3월 27일(목) 개최되는 대면 총회에서 안건별 의사 최종 확인 후 의결함.

 정기총회 개최안내 공고문


※ 이름과 연락처를 꼭 남겨주세요. 총회 의결권 확인을 위한 정보로 사용됩니다.


신청 기간이 마감된 페이지 입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해 주세요.

응답기간: 2025-03-19 - 2025-03-27

--

2025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안내

- 일시 : 2025년 3월 27일(목) 15~19 [15~17 : 정기포럼, 18~19 : 정기총회]

- 장소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지하1층 「주고받다 교육장」 
 (서울시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4․6호선 삼각지역 도보 5분 소요)

 카카오맵으로 보기         네이버지도로 보기 

사단법인 녹색교통운동
(03969)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39 (성산동249-10) 시민공간 나루4층
· TEL : 02-744-4855 · FAX : 02-744-4844 · E-mail : kngt@greentransport.org
· 
사업자등록번호 : 102-82-0799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8-서울마포-0435호

· 이사장 : 고윤화 · 공동대표 : 전재완, 민만기 · 사무처장 : 김광일

사단법인 녹색교통운동

· 이사장 : 고윤화 · 공동대표 : 전재완, 민만기 · 사무처장 : 김광일
· 주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39 시민공간 나루4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2-82-0799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8-서울마포-0435호
· TEL : 02-744-4855

· E-mail : kngt@greentransport.org

움직이는 소나무로 녹색교통을 실천해요.